현대인들에게 뺄 수 없는 필수템인 핸드폰! 보통 2년이나 빠르면 1년 주기로 핸드폰을 바꾸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바꿀 때마다 싸게 사고는 싶은데 아는 곳은 없고, 알아보자니 귀찮고, 길 가다 주변에 핸드폰 전국에서 제일 싼 집!!! 이라는 플래카드를 본 기억이 있어 용기 내 찾아가 봤는데 뒤통수를 맞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실 겁니다.
이건 제 이야기이도 한데요. 그래서 그 귀찮음들을 딛고 열심히 공부하여 많은 걸 알게 됐고 이 시장은 알면 알수록 노다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후 주변에서 핸드폰을 비싸게 주고 사는 게 너무 안타까워 한분 한분 도와드리다가, 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해서 여러분들과 공유하려 합니다.
요즘 갤럭시S22가 출시됨에 따라 구매는 하고 싶은데 싸게 사고 싶어서 여기저기 알아보지만 그냥 귀찮음에 백기 들고 집 앞 핸드폰 가게에 가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갤럭시 S22가 출시되면 출시 몇 달 전부터 S21이 공짜로 풀리는데 S22사실 바에 오히려 돈을 받고 S21을 사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우선 글에 앞서 여러분들이 아예 기초 지식이 없다고 가정하고, 차근차근 꼭 알아야 하는 용어들을 설명 한 후 싸게 사는 방법까지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장담컨대 이 글들만 다 본인 것으로 만드신다면 여러분도 호갱 탈출입니다!
핸드폰을 사실 때 가장 기본적으로 아셔야 되는 게 대리점과 판매점의 차이입니다. 쉽게 설명해드리면 대리점은 SKT, KT, LG이런 공식 대리점을 의미하고 이곳에서는 단통법이 정하는 한도 내에서만 할인하는 곳 이기 때문에 핸드폰을 싸게 살 목적이라면 절대 가시면 안 됩니다..
게다가 대리점은 구매하신 분들의 핸드폰 사용요금의 몇 프로를 수수료로 받기 때문에 고가 요금제를 강요하는 경우가 많은데, 조삼모사 식으로 할인을 많이 해주는 척하며 제휴카드 가입이나 33년 약정을 유도하는 등.. 할말하않.. 가지마세요...
가셔야 될 곳은 판매점을 가셔야 되는데 판매점은 통신사 3사 구분 없이 핸드폰을 판매하는 곳이고, 여러분들이 길거리에서 보게 되는 핸드폰 가장 싼 집!!! 이런 곳입니다. 기본적으로 판매점은 핸드폰을 판매함에 따라 통신사로부터 수십만원의 수수료를 받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판매점마다 핸드폰 가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무턱대고 집 앞에 있는 판매점을 가시면 낭패를 보기 때문에 소위 성지라고 불리는 곳을 찾아가야 되는데요. 성지가 싸게 판매할 수 있는 이유는 우선 박리다매 식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공급받는 단가가 낮기도 하고, 통신사로부터 받는 수당의 일부를 핸드폰 기기값(할부원금) 할인에 지원하여 싸게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즉 매장 보조금으로 기기값을 더 싸게 판매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성지 찾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뽐뿌나 네이버 카페 옆커폰 같은 곳에 방문하여 조금만 구글링 하시면 해당 지역에 성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성지 두 곳의 가격표를 비교하여 저희 집에서 가까운 매장 사장님께 말씀드리고 시세표보다 조금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성지 관련 카페나 밴드, 단톡방에 가입 시 주의하실 점이 단통법 이후 매장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 법적으로 금지되면서 간혹 신고를 받아 매장이 벌금을 내는 경우 때문에 보안을 중요시합니다.. 처음에는 알아보실 때 거부감이 있을 수 있지만, 한 번만 절차를 거치신다면 계속 시세를 확인하실 수 있으니 한번만 번거로움을 감수하시길 바랍니다.
대략적인 설명을 드렸는데 이제 시세표를 보는 방법을 아셔야 되는데요, 다음 글에서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핸드폰, 인터넷, 통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 휴대폰 요금제 꼭 1일에 바꿔야 할까? (0) | 2022.03.01 |
---|---|
남들 갤럭시S22 살 때 S21 돈 받고 사는 방법5(성지 VS 자급제 알뜰폰) (0) | 2022.02.28 |
남들 갤럭시S22 살 때 S21 돈 받고 사는 방법4(아이폰 시세표 보는법) (0) | 2022.02.27 |
남들 갤럭시S22 살 때 S21 돈 받고 사는 방법3(갤럭시 시세표 보는법) (0) | 2022.02.26 |
남들 갤럭시S22 살 때 S21 돈 받고 사는 방법2(기본개념의 이해) (0) | 2022.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