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택약정3

5G 요금제에서 4G 요금제로 변경? 핵심 정리해드립니다. 요즘 핸드폰을 새로 구매할 때 최신 핸드폰이 대부분 5G 기종이고, 통신사에서 5G 핸드폰은 5G 요금제만 이용 가능하게 설정해놔서 불만이 많으실 텐데요. 5G라고 속도 차이를 크게 느끼지도 못하는 데다 5G로 잡혔다가 4G로 잡히는 현상 때문에 오히려 더 느려질 때도 있고, 특히 가장 저렴한 요금제가 55,000원이라 기존에 4G 요금제를 사용하신 분들에겐 가격적인 부담이 큰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5G 요금제에서 4G 요금제로 변경하시려는 분들을 위한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기존에 4G 핸드폰을 사용하다 기기변경을 통해 폰테크 하신 분들도 포함입니다. 우선 자급제로 개통하신 경우 조건 없이 변경 가능하니 통신사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선택약정으로 개통하신 경우에는 언제든 변경 가능.. 2022. 3. 8.
핸드폰 약정에 대해 파헤쳐보자(2년 넘은 부모님 핸드폰 새로 약정해드리기!) 오늘은 핸드폰 약정에 대해 파헤쳐보는 시간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3사(SK,KT,LG)를 통해 핸드폰을 개통할 때 2년 약정을 많이들 하시는데요. 결론 먼저 말씀드리면 2년을 초과하는 약정(3년, 4년)은 절대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통신사에서 약정을 권유하는 이유는 해당 기간동안 당사의 고객으로 묶어서 고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고, 중간에 해지하고 나간다고 하더라도 위약금이라는 방어수단이 있기 때문에 긴 약정을 할인이라는 유인책으로 권합니다. 가령 슈퍼체인지같은 프로모션을 유도하여 3년 약정을 추천하고 2년 후 단말기 판매금으로 할부원금을 제하고 다시 새폰으로 바꾸면 굉장한 이득이라는 양 홍보하는데요. 엄청난 손해니 절대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그럼 고객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될까요? 어차피.. 2022. 3. 7.
남들 갤럭시S22 살 때 S21 돈 받고 사는 방법2(기본개념의 이해) 이전 글에서 말씀드린 시세표를 이해하시려면 필수 용어들을 이해하셔야 하는데, 먼저 공시지원과 선택약정을 아셔야 합니다. 통상적으로 통신사 3사를 통해 핸드폰을 구매할 때, 무조건 이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셔야 됩니다. 공시지원은 단말기 할부금(기기값)을 지원받는 형태, 즉 요금할인 없이(가족 결합 할인 등은 예외) 단말기 자체를 싸게 구입하는 방식이고, 선택약정은 매달 요금(단말기 할부값을 제외한 월 기본요금)에서)에서 25% 할인받고 단말기를 비싸게 사는 방식입니다. 전자는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후자는 고가의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유리하겠죠? 예시를 들어보면 공시지원의 경우 단말기를 60만원 정도 할인받고 구매한다면, 선택약정의 경우 9만원짜리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매월 25% 즉 22.. 2022. 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