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핸드폰, 인터넷, 통신사

핸드폰 요금 미납, 연체 언제까지 괜찮을까?

by ttsp82 2022. 3. 5.

오늘은 핸드폰 요금 미납과 연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폰테크에 대해 알려드렸는데 아무래도 폰테크나 소액결제 등 

급전이 필요하신 분들께 미납과 연체는 뗄 수 없는 문제인데요.

따라서 이번에는 요금을 언제까지 미납해도 괜찮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인터넷에서 미납 정지 순서에 대해 찾아보시면

통상적으로 2개월이 미납되면 발신정지가 되고, 3개월은 수신 정지가 되며

4개월 이상이면 직권해지(핸드폰 강제로 해지) 단계로 보증보험에 등재되어

신용불량 등록 및 남은 할부원금이 일시불로 청구된다고 나옵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이 기간은 정확히 어떤 기준 시점이 있지 않고 개개인의 미납 금액이나 상황에 따라 다른데요.

미납 요금 액수에 따라 고액일 경우 1개월 만에도 정지가 될 수 있고, 

고객의 상황과 상담사의 재량에 따라 원래 정지 예정인 기간보다 연장될 수 있습니다.

실제 예시를 들어보면 우선 우리는 핸드폰 요금을 사용한 후 해당 요금은 다음 달에 청구되어 결제하고 있습니다.

예시) 3월에 사용한 요금은 4월에 납부합니다.

따라서 만약 4월에 요금이 미납된다면 5월부터는 정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이렇고 실제 후기나 경험담 같은 건 드물어서 제가 겪은 그대로 상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핸드폰 미납 정지 문자



저는 KT 회선을 사용 중이었고 2021년 8월 요금을 9월부터 미납했습니다.

그리고 보시다시피 10월 21일에 이용정지 예고 문자가 왔고 이후 11월 1일에 다시 한번 문자가 오고 정지가 됐습니다.


그리고 계속 미납되자 11월 30일에 신용정보 집중기관 등록 예정이라는 문자가 왔는데요.

여기서 좀 겁을 먹었는데 이곳에 등재되면 따로 이곳에서 관리를 하는 것이고 새로운 핸드폰 개통 시 제한이 있으나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신용점수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미납 상담원과 수차례 통화 후 확인받았습니다).

물론 이후에도 미납이 지속되면 정말 직권해지와 추심의 단계까지 가게 되니

딱 위의 신용정보집중기관 문자를 받으실 시점까지만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연체료는 연체 총액에 대한 2%의 금액이 청구되지만 그래도 개인의 신용 점수와는 무관하니 이때까지 꼭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만약 정지예고 문자를 받고 납부기한까지 요금 납부가 어렵다면 얼마든지 고객센터와 통화해서 기간을 연장하실 수 있습니다.

예시) 3월 5일까지 미납 시 정지 예고 -> 미납센터 상담원과 통화 후 직업 특성상 정지하면 업무를 할 수 없어 다음 주까지 납부한다고 약속 

또는 전액 납부가 어려우실 경우 일부 금액(절반 가량)을 먼저 약속일까지 납부하는 방식으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핸드폰 요금 미납 정지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제가 알려드린 대로 꼭 잘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댓글